[김대호의 경제읽기] 전세계 코로나19 부채 '빨간불'…신흥국 부도 위험<br />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올해 세계 각국의 부채를 합산하면 우리 돈으로 약 30경이 넘을 거라는 전망이 나왔습니다.<br /><br />코로나19 여파로 신흥국들의 줄도산 우려도 제기되고 있는 상황인데요.<br /><br />심상치 않은 세계 부채 상황, 짚어봅니다.<br /><br />화물운임의 상승세가 지속되면서 대기업과 중소기업을 가리지 않고 수출업체들의 시름이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블랙프라이데이를 앞두고 있어 업계 고심이 더 깊어지고 있는 상황인데요.<br /><br />더 자세한 내용 김대호의 경제읽기에서 살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오늘도 김대호 박사 나오셨습니다.<br /><br /> 전 세계 부채 규모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. 재정 여건이 취약한 신흥국 중에선 채무 불이행을 선언한 국가도 나왔는데요. 코로나19로 각국의 부채 증가는 예견됐지만 부채 증가세가 이 정도로 가파를지는 짐작하지 못했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. 현재 상황, 어떻게 진단하시나요?<br /><br /> 경제대국인 미국과 중국도 맘 놓고 있을 상황은 아니라는 진단이 나왔습니다. IIF가 분석한 국내총생산, GDP 대비 부채 비율의 절반이 미국 몫이고, 채무불이행을 선언한 잠비아 등 신흥국의 주 채권국이 중국으로 나타났습니다. 높은 부채가 앞으로 경제 회복에 걸림돌이 될 수도 있지 않을까요?<br /><br /> 기업들의 부채에 대한 우려도 큽니다. 미국 최대 악기판매사 기타센터가 코로나로 인해 파산보호를 신청했고 BMW의 중국 사업 파트너 화천그룹과 '반도체 굴기 리더' 칭화유니 등 기업들이 사전 징후없이 채무 불이행을 선언했어요. 우리 경제에도 여파가 있을까요?<br /><br /> 부채가 미래 경제활동의 발목을 잡을 것이라는 우려 속에, 곳곳에서 코로나19가 다시 확산하고 있어 추가 부양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. 경기부양 '딜레마'에 빠진 것 아니냐는 지적도 있는데 우리 정부도 고심이 깊지 않습니까?<br /><br /> 해상과 항공 화물운임 상승세가 지속하면서 대·중소기업을 가리지 않고 수출업체들의 시름이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해운과 항공사들은 모처럼 숨통이 틔여 반가운데 수출기업들은 배를 구해도 급상승한 운임 때문에 비용이 많이 들겠네요. 심각할까요?<br /><br /> 정부가 해상운임이 올라 어려움을 겪고 있는 수출기업들을 위해 운임료 지원, 해외 물류체계 가동 등 다양한 방안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는데요. 충분한 대안이 될 수 있을까요?<br /><br /> 해상운임이 가파르게 오르면서, 해상운송화물을 항공운송으로 전환하는 기업들도 늘고 있습니다. 여기에 블랙프라이데이, 그리고 1월 중국 춘절 등 최대 성수기를 앞두고 우리 수출기업들은 해운대란을 우려하고 있는 상황인데 코로나 백신 운송이 시작되면 운임이 더 오를 거란 전망도 있습니다. 운송대란이 언제까지 이어질까요?<br /><br /> 대한항공의 아시아나항공 인수가 첫 고비를 맞고 있습니다.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과 경영권 경쟁을 벌이고 있는 KCGI가 한진칼의 제3자 배정 유상증자를 막기 위해 법원에 신청한 신주발행금지 가처분 신청에 대한 법원의 판단이 모레 나올 예정인데요. 가장 큰 쟁점은 뭔가요?<br /><br />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과 경영권 분쟁을 벌이고 있는 사모펀드 KCGI가 한진칼의 임시 주주총회를 요구했습니다. KCGI는 유상증자를 직접하겠다며 상법 418조를 강조하고 있는데요. 어떤 내용인가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